최근 지진 등 자연재해와 대형화재, 해양사고 등의 사회적 재난이 우리나라 국민의 삶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예기치 못한 자연재해와 대형사고가 발생하면서 안전한 국가에 대한 국민의 요구는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협회는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안전 문제가 대두될 때마다 관련 분야의 연구개발과 인적,물적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10년 간, 재난안전 연구개발 예산은 8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안전에 대한 국민의 인식은 크게 개선되지 못하였습니다. 재난안전 분야의 기술 수준이나 재난 상황에서 기술의 실효성에 대한 평가 또한 낮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정부의 투자가 안전한 삶에 대한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각으로 재난·재해연구개발 현황을 진단하고 그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국가의 연구개발은 경제 성장이나 주력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도구로 인식되어 왔지만 최근 사회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연구개발 정책의 프레임도 투자규모 확대와 규제 중심에서 벗어나 하나의 ‘미션’ 달성에 중점을 두는 등 혁신의 방향성에 주목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향후 인공지능(AI:Artificial Intelligence),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등을 활용한 4차혁명시대 미래산업대비 성장 이면에 산업재해,질병이 대두되고 있어 무재해 사업장 실현을 위해 기업 성장과 국가에 이바지하기 위해 차별화된 교육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체험형 안전보건교육관련,가상현실(VR:Virtual Reality),스마트(SMART)예정,심폐소생훈련,안전보건교육,사업장요청 출장 안전보건교육, OHSAS18001/ISO45001 인증지도, 위험성평가교육 등 다양한 교육을 통해 기업과 기타단체의 공공성과 자립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